

"[UN] Precedented Pyongyang" is released in 2017. It is an urban research on how Pyongyang, the capital of North Korea, was reconstructed from the Korean War based on the idea of socialist urbanism and how those socialist urban spaces will transform when it adopts the new market-economy system.This research publication touches urban structure of Pyongyang, recent transformation of the city, and future scenarios.
Current
"[UN] Precedented Pyongyang"가 출간되었습니다. 영문으로 출간된 이 책은 북한의 수도인 평양이 한국 전쟁 이후 어떻게 사회주의 도시로서 재건되었는가를 다루고 있으며, 앞으로 북한이 시장경제를 받아들일 때, 이러한 사회주의 도시 공간이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 및 출판은 평양의 도시 조직과, 최근의 변화, 그리고 미래의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projects:

North Korean Atlas (2014), 북한도시읽기
North Korean Atlas covers the built environment of North Korea in various scales,; regional territory of the nation, city scale, urban spaces, and architectural scale. Along with these visualized analysis, experts on North Korea in many fields contributed their essays to this publication. Lastly, several architects/teams are proposing future scenarios of the North Korean territory to foresee the future. Damdi Publishing
북한도시읽기는 북한의 구축환경을 국토 전반에서부터, 도시 스케일, 도시 공간, 건축 스케일 등 다양한 스케일에서 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분야의 북한 전문가들의 글이 함께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챕터에는 건축가들이 제안하는 북한의 미래 도시와 건축의 모습이 포함되어있다.
-2014 독일건축박물관 건축출판 부문 수상-

North Korea Territorial Master Plan (2017), 북한국토계획연구
North Korea Territorial Master Plan was a funded research project that was conducted between 2016 and 2017. It looks into what future industries can be applied to North Korean territory and what city networks can accommodate the change. The research was sponsored by Yeosijae.
북한 국토계획 연구는 2016-2017 사이에 수행한 연구과제이다. 여시재에서 후원한 이번 연구에서는 북한에 어떠한 미래 산업이 적용될 수 있고, 어떻게 새로운 도시 네트워크가 북한의 국토에 반영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Venice Biennale Korean Pavilion (2014),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PRAUD participated to the <Crow's Eye View> exhibition in the 2014 Venice Biennale which won the Golden Lion of the year, curated by Minsuk Cho. The exhibition touches the modern period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s, and PRAUD exhibited its research on North Korean cities from fact sheet to urban space analysis, and to apartment typologies.
PRAUD가 2014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오감도>에 참여하였다. 한국관으로는 처음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이번 전시는 건축가 조민석이 총괄 감독과 큐레이터를 맡았으며, 남북한의 근대화를 다루고 있다. PRAUD는 북한 도시들과 관련된 여러 연구자료들, 즉 인포그라픽, 도시공간분석, 도시조직연구, 건축유형 연구 등의 자료를 전시하였다.

Pyongyang, and Pyongyang After (2011), 평양, 그리고 평양 이후
"Pyongyang, and Pyongyang After" is a research about the city of Pyongyang, the capital of North Korea, studying how the structure of the city has been formed based on its effort of being an ideal socialist city. Based on the present morphology of Pyongyang, the research addresses issues of analyzing the potential of urban spaces in the city for when it adopts a market-oriented economy in near future.
"평양, 그리고 평양 이후"는 북한의 상징인 평양이 전쟁 이후, 도시 재건 과정에서 어떻게 사회주의 도시의 이념을 실천하기 위하여 노력해왔는지에 주목한다. 또한 이러한 사회주의 도시 공간이 새로운 시장경제가 도입됨에 따라서 어떻게 바뀔 것인지 예측해보고 있다.
-2012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상-

Hamhung and Pyongsong (co-authored, 2014), 함흥과 평성
PRG co-authored this research publication "Hamhung and Pyongyang" that focuses on their spatial environment, daily lives and political atmosphere. PRG looked into symbolic urban spaces of eight major cities of North Korea and analysed how they differ from each other and what common elements there are.
PRG가 "함흥과 평성" 출판에 참여, 북한의 8개 주요도시의 상징공간을 분석, 유형화 하였다. 이들 상징 공간을 구성하는 원칙은 도시들 마다 다르며, 이들이 구축하는 도시의 축 역시 도시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Seoul; Points, Lines, Planes and Volume (2017- )
PRG has launched a new research on Seoul focusing on the old city boundary. It aims to understand how the old part of Seoul has been transformed based on the strategies of key (iconic) projects, linear urbanism, and district redevelopments, and eventually the research will suggest how three dimensional urbanism can be achieved in the city.
"서울; 점,선,면 그리고 볼륨"은 한양도성 내의 서울의 변화에 주목한다. 이는 그 동안 서울의 구도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한양도성 내의 서울이 어떠한 주요프로젝트나 선형적 어바니즘, 그리고 지역의 변화 등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분석하고, 새로운 3차원의 변화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I Want to be METROPOLITAN (2012)
I Want to be METROPOLITAN is a research on small scale metropolises, which we call Mini Metropolis, using Boston as a case study to provide a different reading of the city. The study focuses on showing the efforts that the city of Boston has made in order to grow with metropolitan characteristics while remaining at a much smaller scale than cities like New York, London, or Tokyo.
미국 보스톤을 케이스로 출판된 이 연구 서적 "I Want to be METROPOLITAN"은 미니메트로폴리스라고 하는 작은 규모의 도시에서 보이는 현상을 읽어낸다. 이 출판에서는 보스톤이 뉴욕이나 런던, 혹은 도쿄와 같은 큰 메갈로폴리스의 모델에서 벗어나 어떻게 이 도시만의 성격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있다.

:about:
PRAUD Research Group (PRG) is a research institute that focuses on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cities in relationship to architectural typologies. It is formed in Boston by Dongwoo Yim and Rafael Luna in 2011, and in Seoul in 2017. PRG has conducted many researches on cities that are in transitions, including Boston, Pyongyang and Seoul, and published books regards to these researches with Actar, ORO, Damdi and Hyohyung among others. It also exhibited the research works in world wide, including Golden Lion winning pavilion 2014 Venice Biennale Korean Pavilion.
PRAUD Research Group (PRG) 은 2011년에 보스톤, 그리고 2017년에 서울에 임동우와 라파엘 루나가 함께 설립한 도시건축연구소로서, 건축 유형과 도시의 형태 변화의 관계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주로 북한과 한국 등의 한반도의 주요 도시의 구조와 도시 공간을 분석 연구하며, 앞으로 이들이 어떠한 새로운 성장모델로 발전할 것인가 모색한다.
PRG는 현재까지 보스톤, 평양, 서울 등 많은 도시의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이들 연구는 Actar, ORO, Damdi, 효형출판 등의 출판사를 통하여 전 세계적으로 출판되었다. 또한 PRG의 리서치 프로젝트는 2014년 건축비엔날레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한국관 등 여러 장소에서 전시된 바 있다.